기린이를 위한 엘릭서 통기타줄 교체 방법

기린이(기타 초보)들은 보통 기타줄이 끊어지지 않는 이상 줄을 교체하지 않고 손가락에 쇠 냄새가 진동할때까지 계속 쓰죠ㅋㅋ

그러면 안돼요~ 내 손가락도 아프고 기타도 이쁜 소리가 안나고 결국 병에 걸려요ㅠㅠ

그래서 오늘은 기린이를 위한 엘릭서 통기타줄 교체 후기를 남길게요~

 

◆ 준비물: 기타줄, 니퍼, 부드러운 천

 

1. 통기타줄 교체-기타줄 풀기

기타 헤드 쪽의 스트링 페그를 풀어서 줄을 느슨하게 해주세요.

통기타줄 교체방법

통기타줄 교체방법

니퍼 등 도구로 줄을 자르고 헤드 쪽과 브릿지 쪽의 줄을 끝까지 빼주세요.

보시다시피 사진속의 사일런트 기타는 브릿지 핀이 없어서 줄을 그냥 쏙 빼기만 하면 되는데

일반 통기타줄 교체 를 위해서는 브릿지 부분의 핀을 뽑아야 하는데, 핀을 뽑는 도구가 없다면 사운드홀 안에 손을 넣어서 밀어 올려주면서 핀을 뽑으면 돼요.

통기타줄 교체방법

 

☆ 참고로 사진속의 기타는 야하마 SLG-100S 에요.

사일런트 기타 중에서 스틸 스트링을 사용하는 모델이고 일반 통기타와 가장 비슷한 연주감을 느낄 수 있어요.

늦은 밤 집에서 통기타를 연주를 하고 싶은데 소음 때문에.. 방법이 없을까?? 라며 애태게 찾아 헤매다가 사일런트 기타를 발견하게 되었지요^^

구입한지 8년정도 된 거 같은데 아주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어요.

밤늦은 시간에 통기타 치고 싶은 분에게 정말 강추합니다!

사일런트 기타는 공명통(바디)가 없고 픽업이 내장되어 있어서, 혼자 연습할땐 헤드폰을 연결해서 연주하면 멋진 사운드를 즐길 수 있구요,

앰프 연결해서 볼륨을 작게 조절하면 주변에 소음 피해를 주지 않아서 언제든 마음껏 연주할 수 있어요.

버스킹이나 공연용으로 사용하는 뮤지션들도 꽤 있답니다~^^

사일런트 기타

 

2. 기타 닦기

줄을 완전히 제거한 후 부드러운 천으로 기타 프렛과 틈새까지 반짝반짝하게 닦아줘요. 전용 오일을 사용해서 닦으면 더 좋아요.

 

※ 프렛이 깨끗하고 매끄러우면 줄을 누를 때 손가락이 덜 피로하고, 부드러운 연주가 가능해요.

프렛이 거칠거나 녹슬면 슬라이딩, 밴딩 시 손가락이 걸려 불편할 수 있어요.

프렛이 닳거나 산화되면 줄과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아 버징(Buzzing, 잡음)이 발생할 수 있구요.

깨끗한 프렛은 줄의 진동을 더욱 선명하게 전달하여 좋은 톤을 유지할 수 있답니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프렛이 마모되거나 녹슬어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면 결국 수리 비용이 많이 들게 돼요.

통기타줄 교체 할 땐 무조건 기타 프렛과 바디를 닦아주세요~

 

3. 통기타줄 교체-새 기타줄 감기

통기타줄 교체 를 위해 준비한 새 기타줄을 꺼내요.

저는 기타줄 중에 꽤 인지도가 있는 Elixir(엘릭서 나노웹 포스포브론즈 1152 커스텀라이트) 로 교체를 했어요.

엘릭서 통기타줄은 나노웹 코팅 기술로 만들었다는데요, 살짝 비싸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내구성이 좋아서 오래 사용할 수 있구, 톤이 밝고 선명하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엘릭서 통기타줄

기타 줄 교체는 6개 중 제일 굵은 6번줄부터 시작해요~

줄 끝에 동그란 부분이 있는 쪽을 브릿지 핀 한쪽의 움푹 파인 부분에 끼운 채로(줄 끝 동그란거는 삐져나오게)

줄 끝의 동그란 부분(핀의 뾰족한 쪽)부터 브릿지의 구멍으로 밀어 넣은 다음 핀의 머리부분을 꼭 눌러서 마무리하면 돼요.

사일런트 기타는 핀이 없어서 그냥 줄을 구멍으로 쏙 넣으면 돼요^^

기타줄 끼우기

 

이제 헤드머신 쪽으로 넘어가서 6번줄은 5번줄 헤드머신 위치 정도에서 한번 꺽어주세요.

그 꺽어둔 부분을 헤드머신에 넣은 다음 감아주면 길이가 대략 맞아요

안그러면 줄을 너무 많이 감아야 되거나 간혹 모자라는 경우도 있거든요~

기타줄 길이 맞추기

 

5번줄도 4번줄 헤드머신까지 꺽어서 표시해준 다음 같은 방법으로 감아주세요

그렇게 쭈욱 하다가 2번과 1번 줄은 좀전에 여유분으로 남긴 길이보다 2배정도 더 길게 길이를 재서 꺾은 다음 감아주시면 돼요.

스트링 페그에 줄을 감을 때 1,2,3번은 페그를 시계 방향으로 감고 4,5,6번은 반시계방향으로 감아주세요.

그리고 줄이 감긴 방향은 아래 사진에서처럼 모두 안쪽을 향하도록 해주세요.

줄이 점점 아래로 감기도록 해주시구요.

 

너무 세게 감지 않아도 해요~ 줄 감다가 벌써부터 터지면 곤란하자나요ㅎ

텐션은 좀이따가 튜닝 하면서 조절하면 돼요^^

튜닝기로 해도 되고, 요즘은 보통 휴대폰 튜닝앱으로 많이들 하죠.

 

줄을 교체하고 나서 며칠동안은 수시로 튜닝을 해줘야돼요.

감긴 줄들이 자리를 잡아서 제대로 소리를 내려면 시간이 걸려요.

처음엔 줄을 튕길 때 버징(이상한 철 소리 같은거 남) 현상도 나타날 수 있는데 줄이 자리잡을 수 있게 계속 기타를 치고 튜닝도 자주 해주면 나아져요.

그래도 소리가 이상하면 넥이 휘어서 기타줄과 너무 가까워졌을 수도 있어요.

그럴 땐 트러스로드 조절 등으로 해결방법을 찾아보면 되겠죠.

기타 줄 교체할 때 넥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줄을 한꺼번에 교체하지 않고 하나씩 각각 빼고 끼우고를 반복하기도 한답니다.

 

※ 참고로 기타 줄을 왜 교체해야하는지?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하는지? 통기타 프렛 관리 방법? 알려드릴게요~

 

기타줄을 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지?

통기타 줄은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고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중요해요.

  1. 소리의 품질 유지

시간이 지나면 기타 줄이 산화되고 먼지, 땀, 기름 등이 묻어 음색이 탁해져요.

새로운 줄은 밝고 선명한 소리를 내지만, 오래된 줄은 둔탁하고 생명력이 없는 소리를 내요.

  1. 연주감 향상

오래된 줄은 탄력이 줄어들고 표면이 거칠어져서 연주할 때 손가락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새 줄은 부드럽고 균일한 텐션을 유지하여 더 쾌적한 연주 경험을 제공해요.

  1. 정확한 음정 유지

줄이 오래되면 신축성이 떨어지고 음정이 쉽게 맞지 않거나 튜닝이 자주 풀려요.

새로운 줄은 안정적으로 튜닝을 유지하고 정확한 음정을 제공해요.

  1. 줄의 내구성 및 안전 문제

오래된 줄은 내부적으로 약해지고 쉽게 끊어질 위험이 있어요.

연주 중 갑자기 줄이 끊어지면 다칠 수도 있으므로, 미리 교체하는 것이 안전해요.

  1. 연주 스타일에 따른 변화

자주 연주하는 사람일수록 줄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므로 교체 주기가 짧아야 돼요.

공연이나 녹음을 앞두고 있다면 최상의 소리를 위해 새 줄로 교체하는 것이 좋아요.

 

기타줄 얼마나 자주 교체하면 좋은지? (기타줄 교체 주기 추천)

– 일반적인 취미 연주자: 3~6개월

– 자주 연주하는 사람: 1~3개월

– 공연이나 녹음 준비 시: 직전에 새 줄로 교체

 

통기타 프렛 관리 방법
(1) 프렛 청소 방법

👉 필요한 도구

  • 마른 천 또는 극세사 천
  • 레몬 오일(지판 청소용)
  • 프렛 폴리싱용 사포(1000~2000방) 또는 프렛 러버
  • 마스킹 테이프(지판 보호용)

👉 청소 과정

  • 줄 제거: 프렛 청소 전 기타 줄을 제거해요.
  • 지판 보호: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해 프렛 사이의 지판을 보호합니다.
  • 프렛 닦기: 마른 천으로 먼지를 닦아낸 후, 프렛 폴리싱 사포 또는 프렛 러버로 프렛을 문질러 녹과 때를 제거해요.
  • 마무리: 천으로 다시 닦고, 지판에는 레몬 오일을 소량 바른 후 마른 천으로 닦아줘요.

💡 주의: 너무 거친 사포를 사용하면 프렛이 과도하게 깎여 마모될 수 있어요.

(2) 프렛 마모 방지법

✔ 줄 교체 주기 지키기: 오래된 줄은 녹슬어 프렛 마모를 가속화 한답니다.

✔ 지판과 프렛에 땀과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관리

✔ 연주 후 마른 천으로 닦아주기

✔ 습도 관리: 습한 환경에서는 프렛이 녹슬기 쉬우므로, 40~50%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아요.

(3) 프렛이 마모되거나 녹슬었을 때 대처법

✔ 프렛이 심하게 마모된 경우 → 전문가에게 프렛 연마(Fret Leveling) 또는 교체(Fret Refretting) 작업을 의뢰해야 돼요.

✔ 부분적인 마모나 녹이 생긴 경우 → 위의 청소 방법을 따라 직접 관리할 수 있어요.

 

(4) 기타 프렛은 얼마나 자주 관리해야 할까?

– 가벼운 청소: 연주 후마다 마른 천으로 닦아주기

– 프렛 폴리싱: 3~6개월에 한 번(줄 교체할 때 같이 진행하면 좋음)

– 지판 오일링: 6개월~1년에 한 번 (지판이 건조할 때만)

 

초보자 맞춤형 통기타줄 고르는법 (코팅 여부, 굵기, 재질)

 

Leave a Comment